열심히 했는데 빚만 1억… 폐업도 어렵다.. 사장님들의 '절규'
폐업소상공인들의 평균 빚이 1억원이 넘고 폐업비용도 2천만원 이상을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021년 이후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을 지급 받은 폐업 소상공인 82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오늘(19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폐업 소상공인들은 폐업한 사업체의 창업 이유(복수응답)로 생계 유지(65.4%), 직장 생활보다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45.0%), 적성・경험을 살리기 위해(40.7%)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창업 후 폐업까지의 영업 기간은 평균 6.5년으로 나타났으며, 3년 미만의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에 달했습니다.
폐업 사유(복수응답)로는 수익성 악화, 매출 부진(86.7%), 적성・가족 등 개인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준비(26.0%), 임대기간 만료, 행정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수익성 악화 및 매출 부진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 부진에 따른 고객 감소(52.2%), 인건비 상승(49.4%), 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46.0%),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44.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배달앱・숙박앱 등 온라인플랫폼사의 수수료・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 대비 높게 나타나 온라인플랫폼의 비용 부담에 큰 애로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 기준 부채액은 평균 1억 236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소요된 폐업 비용은 평균 2천188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폐업 비용의 세부 내역별 평균 비용은 철거비 518만원, 원상복구 비용 379만원, 종업원 퇴직금 563만원, 세금 420만원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조업의 평균 부채액은 1억 4천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 대비 1.5배 이상 높고, 평균 폐업 비용도 제조업이 3천859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1천219만원) 대비 3배 이상 높아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폐업 비용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폐업 절차 진행 시 주된 애로 사항으로는 폐업 후 생계유지 방안 마련(31.1%), 권리금 회수, 업체 양도(24.3%), 대 출금 상환(22.9%) 등이 조사됐습니다.
폐업 진행과정에서 노란우산 공제금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71.1%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58.9%가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응답했습니다.
폐업 시 정부 지원제도(희망리턴패키지・새출발기금 등)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8.2%가 활용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습니다. 활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내용을 알지 못해서(66.9%),신청 방법이나 요건이 까다로워서(21.4%) 등이 조사돼 지원제도에 대한 홍보 강화 및 요건 완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업 시 가장 필요하고 확대돼야 할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는 대 출금 상환 유예, 이자 감면(52.6%), 폐업 비용 지원(51.0%) 폐업 이후 진로 지원(46.6%), 자영업자고용보험, 노란우산공제 확대(22.8%)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1. 365일 무지성 상시할인
2. 공급가, 인건비, 임대료, 물가 등이 올랐는데도 가격인상을 하지 않고 가격인하로 장사
3. 국가에서 독점판매권을 준 의료기기인 안경렌즈, 콘택트렌즈 미끼상품화, 할인판매화 하여 스스로 가격을 낮춰 손해보며 장사
4. 암묵적 룰로 직원으로써 직원의 수명 45세 미만 -> 직업의 수명이 짧을 수록 수많은 안경원 사장들을 만들어내며 이는 경쟁율 상승효과로 이어짐
5. 인구가 넘치던 시절엔 (공급이 높을때) 문제되지 않았지만 저출산일 때(공급이 적을 때) 20~30대만 구인하는 문화는 인건비 상승효과
6. 안경원에 가장 많은 원인으로 찾아오는 단초점 가공시 기본사항인 단안PD, OH 조차 지키지 않음
7. 직업의 권위를 스스로 낮춤 (전문가, 의료기사 등에 걸맞는 흰색 가운 복장을 갖추지 않음)
8. 회전율이 느린 특성을 무시하고 저가로 판매함 (싸게 물량을 풀어 소비자에게 공급할수록 공급과잉 유발로 미래의 매출을 땡끼는 레버리지 효과)
9. 시대에 뒤 떨어진 근로문화 (장시간 근무, 주말+공휴일 근무는 덤, 여자안경사가 부족한 이유)
10. 안경사협회 존재 이유를 수많은 안경사들이 공감하지 못 함 (협회비 명목으로 삥 뜯는 행위, 깡패가 자릿세 달라는 것과 다를 바 없음)